맨위로가기

10기 KBS 바둑왕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기 KBS 바둑왕전은 1990년부터 1991년까지 진행된 바둑 기전이다. 조훈현 九단이 서능욱 九단을 2:0으로 꺾고 우승했으며, 조훈현 九단은 통산 7회 우승을 달성했다. 결승 진출자에게는 제4회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출전권이 주어졌다.

2. 기전 정보

3. 대회 일정

4. 참가 기사

4. 1. 본선 시드

4. 2. 예선 통과자

wikitable

예선 통과자
48강 통과자32강 통과자


5. 대진표 및 결과

wikitable

32강전16강전8강전준결승전결승전
오규철 四단
오규철/吳圭哲중국어 四단[1]조훈현 九단
조훈현 九단
조훈현/曺薰鉉중국어 九단[1]
(故)우쑹성 九단
오송생/吳淞笙중국어 九단[1](故)우쑹성 九단
(故)전영선 六단
전영선/田永善중국어 六단[1]
이창호 四단
이창호/李昌鎬중국어 四단[1]이창호 五단
김수장 七단
김수장/金秀壯중국어 七단[1]서봉수 九단
서봉수 九단
서봉수/徐奉洙중국어 九단[1]
강만우 六단
강만우/姜晩寓중국어 六단[1]
최규병 四단
최규병/崔圭丙중국어 四단[1]박승문 二단
박승문 二단
박승문/朴承文중국어 二단[1]유창혁 四단
김영환 二단
김영환/金榮桓중국어 二단[1]김영환 二단
(故)장두진 六단
장두진/張斗軫중국어 六단[1]김재구 七단
김재구 七단
김재구/金宰求중국어 七단[1]
황원준 六단
황원준/黃元俊중국어 六단[1]
장수영 九단
장수영/張秀英중국어 九단[1]장수영 八단
정수현 六단
정수현/鄭壽鉉중국어 六단[1]윤기현 九단
윤기현 九단
윤기현/尹奇鉉중국어 九단[1]
천풍조 七단
천풍조/千豊祚중국어 七단[1]
강훈(大) 七단
강훈/姜勳중국어 七단[1]강훈(大) 七단
(故)강철민 七단
강철민/姜哲民중국어 七단[1](故)이봉근 六단
홍태선 七단
홍태선/洪太善중국어 七단[1]
(故)이봉근 六단
이봉근/李奉根중국어 六단[1]
(故)하찬석 八단
하찬석/河燦錫중국어 八단[1](故)하찬석 七단
이동규 七단
이동규/李東奎중국어 七단[1]홍종현 七단
박영찬 初단
박영찬/朴永贊중국어 初단[1]
홍종현 六단
홍종현/洪鐘賢중국어 六단[1]
김수장 七단
김수장/金洙璋중국어 七단[1]김일환 六단
정수현 六단
정수현/鄭壽鉉중국어 六단[1]서능욱 九단
양재호 七단
양재호/梁宰豪중국어 七단[1]
김일환 六단
김일환/金日煥중국어 六단[1]
유병호 七단
유병호/劉丙虎중국어 七단[1]
서능욱 九단
서능욱/徐能旭중국어 九단[1]
조훈현 九단
이창호 五단
유창혁 四단
(故)김재구 七단
윤기현 九단
강훈(大) 七단
(故)하찬석 八단
서능욱 八단
조훈현 九단
유창혁 四단
강훈(大) 七단
서능욱 八단
조훈현 九단2
서능욱 八단0


5. 1. 예선

백 승리9월 7일한철균 四단이상훈(小) 初단15?수 미확정
백 승리예선 결승9월 6일박영찬 初단노준환 初단수9월 7일박승문 初단한철균 四단수


5. 2. 본선

1991년 1월 21일 32강전에서 김영환 二단이 (故)장두진 六단에게 268수 흑 반집승을 거두었다. 1월 28일 김재구 七단이 황원준 六단에게 272수 흑 4집반승, (故)이봉근 六단이 홍태선 七단에게 188수 백 불계승을 거두었다. 2월 4일에는 서능욱 九단이 유병호 七단을 상대로 216수 흑 9집반승을 기록했다.

2월 18일, (故)우쑹성 九단이 (故)전영선 六단에게 273수 흑 5집반승, 서봉수 九단이 강만우 六단에게 259수 흑 1집반승을 거두었다. 3월 4일에는 장수영 九단이 정수현 六단에게 292수 흑 2집반승, 유창혁 四단이 (故)임선근 六단에게 242수 흑 11집반승을 기록했다. 3월 18일 강훈(大) 七단이 (故)강철민 七단에게 197수 흑 불계승, (故)하찬석 八단이 이동규 七단에게 188수 백 불계승을 거두었다.

4월 1일 조훈현 九단이 오규철 四단에게 210수 백 불계승을 거두었다. 4월 8일에는 양재호 七단이 김일환 六단에게 224수 흑 17집반승, 홍종현 六단이 박영찬 初단에게 250수 백 양자패를 기록했다. 4월 15일 윤기현 九단이 천풍조 七단에게 226수 백 1집반승을 거두었다. 4월 29일 이창호 四단은 김수장 七단을 상대로 148수 백 불계승을 기록했다.

5월 13일 16강전에서 유창혁 四단이 박승문 二단에게 272수 백 12집반승, 강훈(大) 七단이 (故)이봉근 六단에게 160수 백 불계승을 거두었다. 5월 30일 윤기현 九단이 장수영 八단에게 280수 흑 2집반승, 서능욱 九단이 김일환 六단에게 265수 흑 4집반승을 기록했다.

6월 24일 이창호 五단이 서봉수 九단을 상대로 284수 흑 6집반승을 거두었다. 6월 27일 (故)하찬석 八단이 홍종현 七단에게 256수 흑 1집반승, 조훈현 九단이 (故)우쑹성 九단을 상대로 185수 흑 시간승을 기록했다.

7월 1일 준준결승전(8강전)에서 강훈(大) 七단이 윤기현 九단을 상대로 175수 흑 불계승을 거두었다. 7월 11일 서능욱 九단이 (故)하찬석 八단에게 288수 백 5집반승, 유창혁 四단이 김재구 七단에게 250수 백 불계승, 조훈현 九단이 이창호 五단에게 119수 흑 불계승을 기록했다.

7월 26일 준결승전에서 서능욱 九단이 강훈(大) 七단을 상대로 167수 흑 불계승을 거두었다. 8월 8일 조훈현 九단이 유창혁 五단을 상대로 154수 백 불계승을 기록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5. 2. 1. 32강전 ~ 준결승전

1991년 1월 21일 32강전에서 김영환 二단이 (故)장두진 六단에게 268수 흑 반집승을 거두었다.[1] 1월 28일 김재구 七단이 황원준 六단에게 272수 흑 4집반승, (故)이봉근 六단이 홍태선 七단에게 188수 백 불계승을 거두었다. 2월 4일에는 서능욱 九단이 유병호 七단을 상대로 216수 흑 9집반승을 기록했다.

2월 18일, (故)우쑹성 九단이 (故)전영선 六단에게 273수 흑 5집반승, 서봉수 九단이 강만우 六단에게 259수 흑 1집반승을 거두었다. 3월 4일에는 장수영 九단이 정수현 六단에게 292수 흑 2집반승, 유창혁 四단이 (故)임선근 六단에게 242수 흑 11집반승을 기록했다. 3월 18일 강훈(大) 七단이 (故)강철민 七단에게 197수 흑 불계승, (故)하찬석 八단이 이동규 七단에게 188수 백 불계승을 거두었다.

4월 1일 조훈현 九단이 오규철 四단에게 210수 백 불계승을 거두었다. 4월 8일에는 양재호 七단이 김일환 六단에게 224수 흑 17집반승, 홍종현 六단이 박영찬 初단에게 250수 백 양자패를 기록했다. 4월 15일 윤기현 九단이 천풍조 七단에게 226수 백 1집반승을 거두었다. 4월 29일 이창호 四단은 김수장 七단을 상대로 148수 백 불계승을 기록했다.

5월 13일 16강전에서 유창혁 四단이 박승문 二단에게 272수 백 12집반승, 강훈(大) 七단이 (故)이봉근 六단에게 160수 백 불계승을 거두었다. 5월 30일 윤기현 九단이 장수영 八단에게 280수 흑 2집반승, 서능욱 九단이 김일환 六단에게 265수 흑 4집반승을 기록했다.

6월 24일 이창호 五단이 서봉수 九단을 상대로 284수 흑 6집반승을 거두었다. 6월 27일 (故)하찬석 八단이 홍종현 七단에게 256수 흑 1집반승, 조훈현 九단이 (故)우쑹성 九단을 상대로 185수 흑 시간승을 기록했다.

7월 1일 준준결승전(8강전)에서 강훈(大) 七단이 윤기현 九단을 상대로 175수 흑 불계승을 거두었다. 7월 11일 서능욱 九단이 (故)하찬석 八단에게 288수 백 5집반승, 유창혁 四단이 김재구 七단에게 250수 백 불계승, 조훈현 九단이 이창호 五단에게 119수 흑 불계승을 기록했다.

7월 26일 준결승전에서 서능욱 九단이 강훈(大) 七단을 상대로 167수 흑 불계승을 거두었다. 8월 8일 조훈현 九단이 유창혁 五단을 상대로 154수 백 불계승을 기록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5. 2. 2. 결승전

결승전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

6. 중계

KBS 2TV에서 매주 토요일 밤에 녹화 방송되었으며, 해설은 노영하 7단, 초청 해설은 정수현 7단이 맡았다.

7. 특이 사항

조훈현 九단이 2:0으로 완봉승을 거두며 통산 7회 우승을 달성했다. 서능욱 九단은 2년 연속 준우승에 머물렀다. 우승자 조훈현 九단과 준우승자 서능욱 九단은 일본 도쿄 NHK 방송국에서 열리는 4회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출전권을 획득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